서울시에서 육아를 도와주는 조부모나 친인척에게 월 30만원의 돌봄비용을 지급하는 ‘서울형 아이돌봄비’ 사업을 9월부터 실시합니다.
매월 1일부터 15일까지 부모 등 양육자가 온라인을 통해 신청 가능하니 늦지 않게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빠르게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 등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서울형 아이돌봄비란?
해당 사업은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가정 등 부모가 직접 아이들을 돌보기 힘든 환경에서 조부모, 삼촌, 고모, 이모 등의 친인척이나 민간 육아도우미의 돌봄 지원을 받는 사업입니다.
1) 지원 대상
서울에 거주하며 24개월 이상 36개월 이하(신청 시점 기준)의 아이를 키우며 맞벌이, 다자녀, 다문화, 한부모 가정 등 양육 공백이 있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입니다.
친인척 육아 조력자의 범위는 돌봄 아이 기준 4촌 이내의 19세 이상 친인척으로 서울시에 거주하지 않아도 됩니다.
✅ 2023년 중위소득 150%(월 소득)
3인 | 4인 | 5인 | 6인 |
6,653, 000원 | 8,102, 000원 | 9,497, 000원 | 10,842, 000원 |
2) 지원 혜택
조부모 및 친인척이 아이를 돌보는 시간과 아이가 몇 명인지에 따라 지원 금액이 결정됩니다. 최대 13개월 지원이 가능하며, 아이가 만 37개월 되기 전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1명의 아이를 월 40시간 이상 돌보았을 경우 : 월 30만원 지급
- 2명의 아이를 월 60시간 이상 돌보았을 경우 : 월 45만원 지급
- 3명의 아이를 월 80시간 이상 돌보았을 경우 : 월 60만원 지급
만약 조부모 및 친인척의 돌봄 지원을 받기 어렵거나 민간 아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가정이라면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기관 3군데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1명당 30만원)을 지급합니다.
2. 서울형 아이돌봄비 신청
매월 1일부터 15일까지 아이의 부모(양육자)가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신청 절차
-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 회원가입 후 자가체크를 진행합니다.
- 돌봄서비스 유형(친인척형 또는 민간형)을 선택합니다.
- 개인정보 활용 동의 후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제출 서류를 첨부한 후 최종 제출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이 완료되면 각 자치구에서 자격을 확인하고 지원대상을 선정하고 안내합니다. 선정이 된 다음 달부터 돌봄 활동이 시작됩니다.
2) 돌봄활동 인증 방법
돌봄활동 시간 인증은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에서 생성된 QR코드를 통해 이뤄집니다.
아이를 맡길 때와 돌볼활동을 종료할 때 부모(양육자) 휴대전화로 QR코드를 생성하고, 조력자의 휴대전화로 QR코드를 촬영하여 시간을 확인합니다.
조력자가 서울시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아이를 돌보고 있는 경우에는 돌봄활동 사진을 찍어 업로드하여 돌봄시간을 확인합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